경제
기준금리(Base Rate)
bbomi
2025. 7. 13. 16:25
-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.5%로 동결함
- 기준금리란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정책 금리
- 이 기준금리가 변하면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나 예금 금리 등 모든 금융 상품의 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됨
- 즉, "나라의 돈줄을 조절하는 가장 기본적인 금리"
기준금리의 역할 및 중요성
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, 경기 조절, 금융 시장 안정 등 국가 경제의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임. 기준금리를 조절함으로써 시장의 유동성(돈의 흐름)과 투자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.
- 물가 안정: 물가가 너무 빨리 오르면(인플레이션),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려 시중에 돈이 덜 돌게 만들어 물가 상승 압력을 늦춤. 반대로 물가가 너무 낮아지면(디플레이션), 금리를 내려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를 기대
- 경기 조절: 경기가 과열되면 금리를 올려 투자를 억제하고, 경기가 침체되면 금리를 내려 투자를 장려하여 경기를 활성화
- 환율 안정: 금리 변화는 국가 간 자본 이동에 영향을 미쳐 환율에도 영향을 줌. 예를 들어, 금리가 오르면 해외 자본 유입을 유도하여 자국 통화 가치 상승 요인으로 작용
기준금리 인상과 인하의 효과
1. 기준금리 인상 시
- 대출 금리 상승: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서 돈을 비싸게 빌리니, 가계와 기업에 빌려주는 대출 금리도 올림.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 증가, 기업의 투자 위축 요인
- 예금 금리 상승: 은행들이 예금을 유치하기 위해 예금 금리도 올림. 저축 증가 유인
- 소비 및 투자 감소: 대출 부담 증가와 예금 매력도 상승으로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어 경기 둔화 가능성
- 주식 시장 하락 압력: 기업 실적 악화 우려 및 투자 자금의 은행 예금 이동으로 주식 시장에 부정적 영향
- 통화 가치 상승: 높은 금리를 찾아 외국 자본이 유입될 가능성으로 인해 원화 가치 상승(환율 하락) 요인
2. 기준금리 인하 시
- 대출 금리 하락: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서 돈을 싸게 빌리니, 가계와 기업에 빌려주는 대출 금리도 내림. 대출 부담 완화, 기업의 투자 활성화 요인
- 예금 금리 하락: 예금 매력도 감소
- 소비 및 투자 증가: 대출 부담 감소와 저축 매력도 하락으로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 경기 활성화 가능성
- 주식 시장 상승 압력: 기업 실적 개선 기대 및 투자 자금의 주식 시장 유입으로 긍정적 영향
- 통화 가치 하락: 낮은 금리를 피해 외국 자본이 유출될 가능성으로 인해 원화 가치 하락(환율 상승) 요인
한국의 기준금리 결정 주체: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
대한민국의 기준금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(금통위)에서 결정함. 금융통화위원회는 총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, 매월 정례회의를 통해 국내외 경제 상황, 물가 동향, 금융 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준금리 수준을 결정